티스토리 뷰
허스토리 줄거리
"이겨야죠! 이겨야 할매들 분이 안풀리겠습니까?"1992~1998 6년의 기간, 23번의 재판, 10명의 원고단, 13명의 변호인. 시모노세키와 부산을 오가며 일본 재판부에 당당하게 맞선 할머니들과 그들을 위해 함께 싸웠던 사람들의 뜨거운 이야기가 시작된다.
허스토리 리뷰
'허스토리'는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무시되어온 여성들의 이야기를 새롭게 발굴하고자 하는 시도로 탄생하였습니다. 이 영화는 1945년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일본군 위안부였던 여성들의 아픔과 격렬한 싸움을 다룹니다. 특히, 이 영화는 진실을 찾아 나선 한 여성 변호사와 그녀의 팀이라는 주인공들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그들은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면서도 한국사회에서 여성 인권을 위한 싸움을 벌이게 됩니다.
'허스토리'는 단순한 역사 드라마가 아닙니다. 이 영화는 힘든 현실과 어려움 속에서도 꿋꿋하게 살아가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여성들은 자신들의 아픔을 무시하지 않고, 그 아픔을 통해 힘을 얻으며 사회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싸웁니다. 이런 점에서 '허스토리'는 우리에게 많은 용기와 희망을 전해줍니다.
감독 장지영의 감각적인 연출과 배우들의 탁월한 연기력은 이 영화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각자의 역할을 통해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여성들의 이야기에 몰입하도록 유도합니다. 또한, 영화의 장면 전환과 음악 선택도 매우 섬세하게 이루어져 있어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이제 우리는 '허스토리'를 통해 과거의 아픔을 돌아보면서, 여성 인권을 위한 싸움을 함께 나눌 차례입니다. 이 영화는 우리에게 여성으로서 자부심을 불어넣어주며, 사회적인 변화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영화가 만들어내는 메시지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허스토리'는 우리의 역사에서 잊혀진 이야기들을 되새기고,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소중한 작품입니다.
영화를 보면서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 중 하나는 택시에서의 대사입니다. 주인공인 김희애 배우가 택시에서 당신 엄마라면 어쩔거냐고 소리치는 장면은 박력이 넘치며 통쾌한 감정을 일깨웁니다. 또한, 이 영화에서는 여성 주인공들이 자신의 모성애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여성 주인공들이 몇이나 될까 생각해보면 일하는 것에 대한 열정과 자유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영화에서는 아직도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노력하는 위안부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신파적인 장면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면서 현실적인 공감을 유발합니다. 영화에서는 고통의 기억을 플래시백으로 보여주지 않고 떨리는 목소리로만 전달하는데, 이 점이 매우 감동적입니다.
또한, 김희애와 김해숙 등 배우들은 섣불리 연기하기 어려운 중압감을 잘 표현하며, 그들이 마음을 열어 연기할 수 있도록 기도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배우들의 연기력은 영화에 더욱 생동감과 감정을 전달합니다.
이 영화는 수백만의 돈으로는 보상할 수 없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연민보다는 그들의 뻔뻔함에 집중하며 그들의 아픔에 대해 강력한 목소리로 비판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많은 사람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 것입니다.
'허스토리'는 그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면서도 여성들이 직면한 어려움과 투쟁을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영화를 통해 우리는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들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허스토리'는 꼭 시청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허스토리 출연진
감독 민규동
주연 김희애(문정숙 사장)
주연 김해숙(배정길 할머니)
조연 예수정(박순녀 할머니)
조연 문숙(서귀순 할머니)
조연 이용녀(이옥주 할머니)
조연 김선영(신사장)
조연 김준한(이상일 변호사)
조연 이유영
조연 이설(딸 혜수)
조연 이용이(유소득 할머니)
조연 최병모(배정길 아들 순모씨)
허스토리 같이보기 좋은 영화
임을 위한 행진곡 (2018) 평점 : (3.13)
귀향 (2015) 평점 : (7.62)
그해 여름 (2006) 평점 : (6.73)
1987 (2017) 평점 : (8.11)
변호인 (2013) 평점 : (8.22)
파친코 (2022) 평점 : (8.08)
69세 (2019) 평점 : (7.01)
항거:유관순 이야기 (2019) 평점 : (7.87)
아이 캔 스피크 (2017) 평점 : (7.90)
82년생 김지영 (2019) 평점 : (7.30)
화려한 휴가 (2007) 평점 : (7.23)
22 (2015) 평점 : (7.33)